본문 바로가기
Knowledge/Research

[KoCon] 소비자불매운동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기법의 활용 (2022)

by 이제니 2022. 3. 18.
728x90

 

© johnhain, 출처 Pixabay

소비자불매운동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기법의 활용

A Study on the Consumer Boycott Participation Experien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약어 : Jour. of KoCon.a
2022, vol.22, no.2, pp. 88-106 (19 pages)
발행기관 : 한국콘텐츠학회
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
한준오 /Juno Han 1 , 이욱 /Li Xu 2 , 황혜선 /HWANG, HYE SUN 3
1성균관대학교 소비자학과, 2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소셜이노베이션융합전공, 3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을 활용하여 소비자불매운동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소비자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불매운동 관련 온라인 뉴스의 토픽은 불매운동 원인과 불매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각 주체들의 대응, 불매운동 효과의 내용을 포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 결과, 참여자들은 자체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검증을 하며 탈중심화된 불매운동 참여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매운동 과정에서 대체재 부재, 불매기업의 마케팅 영향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경험과, 불매행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신념을 강화하는 긍정적 경험이 함께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discourse on consumer boycott and explored consumer experience using text mining of mass media and social media data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pics of online news related to the boycott included the causes of the boycott, the responses of each actor in the process of the boycott, and the effects of the boycott. In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boycott has been decentralized and the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exploring and verifying information on their own. In the boycott process, there were mixed experiences due to the absence of substitutes and the marketing influence, and positive experiences of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strengthening beliefs through the boycott.

 

키워드

불매운동, 소비자운동, 소비자경험, 텍스트마이닝

Consumer Boycott, Consumer Movement, Consumer Experience, Text Mining

 

인용

한준오, 이욱 and 황혜선. (2022). 소비자불매운동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2), 88-106.

 

자료원: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385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