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경쟁력4

[KITA] 팬데믹 전·후, 한국 수출 주력품목 경쟁력 진단 (2022.11) 수출입 동향 팬데믹 전·후, 한국 수출 주력품목 경쟁력 진단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민우 #주력품목, #13대품목, #수출경쟁력, #점유율 2022.11.22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분석방법 Ⅱ. 13대 주력품목 수출 동향 Ⅲ. 팬데믹 기간 13대 품목 수출경쟁력 변화 Ⅳ. 2022년 13대 품목 수출경쟁력 진단 Ⅴ. 결론 및 시사점 팬데믹 전·후, 한국 수출 주력품목 경쟁력 진단 2022년 11월 현재 에너지 수입 급증 및 수출 증가세 둔화로 무역적자가 누적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수출경쟁력 현황에 대한 면밀한 진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반도체, 선박, 자동차 등 한국 수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13대 주력품목을 대상으로 수출경쟁력을 분석했으며, 분석기간은 팬데믹.. 2022. 12. 14.
[KITA]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주요국 수출경합관계 분석 (2022.10) 수출입동향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주요국 수출경합관계 분석 대륙 북미 국가 미국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정혜선 #미국, #수출경합도, #대만 2022.10.11 목차 I. 연구배경 II. 최근 미국의 수입 동향 III. 아시아 주요국과의 對美 수출경합관계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주요국 수출경합관계 분석 최근 우리나라의 對美 수출 규모 및 비중이 지속 증가하며 미국 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세계 수입액의 약 13%를 차지하는 최대 수입국으로 수입규모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對美 수출비중도 올해 1~8월 중 15.8%까지 증가하며 18년 만에 15%를 넘어서는 호조를 보이고 있다. 미국 수입시장은 최근 미중 분쟁과 팬데.. 2022. 10. 23.
[KITA]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진단 및 개선과제 (2022.09) 기업경쟁력·경영전략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진단 및 개선과제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아린 #수출경쟁력, #중소기업, #경쟁력 2022.09.06 목차 Ⅰ. 연구배경 Ⅱ.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자가진단 Ⅲ. 수출중소기업 미래전략 및 과제 Ⅳ. 결론 및 시사점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진단 및 개선과제 2021년 중소기업 수출은 1,171억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으며, 품목·지역별로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 수출기업 중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대비 중소기업의 수출액 비중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중소기업 수출 증가율(16.2%) 또한 전체 수출 증가율(25.8%)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소기업 수출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 최근 원자재 가격 폭등 및 .. 2022. 9. 26.
[KITA]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2022.03) 수출입 동향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아린, 정혜선 #수출, #1위품목, #수출경쟁력, #SSD 2022.03.14 목차 1. 요약 2. 국가별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 변화 3. 한국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의 경쟁력 4. 주요국 수입시장에서의 경쟁력 비교 5. 결론 및 시사점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2020년 세계 수출 1위 품목 수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1위 품목 최다 보유국은 중국(1,798개)으로 5년 연속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중국의 뒤를 이어 독일(668개)이 2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1위 품목 수가 45개 감소한 미국(479개.. 2022.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