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Reports57

[KITA]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2022.03) 수출입 동향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아린, 정혜선 #수출, #1위품목, #수출경쟁력, #SSD 2022.03.14 목차 1. 요약 2. 국가별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 변화 3. 한국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의 경쟁력 4. 주요국 수입시장에서의 경쟁력 비교 5. 결론 및 시사점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2020년 세계 수출 1위 품목 수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1위 품목 최다 보유국은 중국(1,798개)으로 5년 연속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중국의 뒤를 이어 독일(668개)이 2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1위 품목 수가 45개 감소한 미국(479개.. 2022. 3. 28.
[KITA] 한·미 FTA 10주년 평가와 과제 (2022.03) 통상리포트 한·미 FTA 10주년 평가와 과제 대륙 북미 국가 미국 업종 전체 품목 전체 저자 이유진, 황준석 수석연구원 #한미FTA, #KOURS FTA, #FTA, #10주년 2022.03.10 한-미 FTA 10주년 평가와 과제 2012년 3월 15일 발효된 한·미 FTA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했다. 한·미 FTA는 지난 10년간 양국의 무역과 투자를 증진시키고,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등 군사안보 중심의 한·미 동맹을 경제영역까지 확장시켰다. 특히 한국의 상품무역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FTA 발효 전(2011년) 9.3%에서 2021년 13.4%까지 증가하며 미국은 한국의 2대 무역상대국이 되었고, 같은 기간 미국의 대한국 투자는 24억 달러에서 50억 달러까지 2배 이상 증가했다. 한·미 F.. 2022. 3. 16.
[KITA]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산업 정책방향과 시사점 (2022.03) 해외시장 트렌드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산업 정책방향과 시사점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전보희 #양회, #전인대, #정협, #중국정책, #온중구진, #전정특신 2022.03.10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최근 중국 경제 동향 및 2022년 전망 Ⅲ. 2022년 중국의 주요 경제·산업 정책방향 Ⅳ. 결론 및 시사점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산업 정책방향과 시사점 중국은 지난 1~2월 지방양회와 3월 전국 양회를 개최하여 2021년 경제성과를 되돌아보고 2022년 경제성장 목표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전국 31개 성시중 25개 지역에서 당초 제시했던 경제성장률 목표를 달성하였고, 절반에 가까운 14개 지역은 전국 평균 경제성장률(8.1%.. 2022. 3. 16.
[KITA] 미국의 2022년 통상정책 방향 및 주요 이슈별 현황 (2022.03) 통상리포트 미국의 2022년 통상정책 방향 및 주요 이슈별 현황 대륙 북미 국가 미국 업종 전체 품목 전체 저자 박선민, 정해영, 김경화 #미국, #2022년, #통상정책, #미중, #수입규제, #WTO, #환경, #디지털세 2022.03.04 미국의 2022년 통상정책 방향 및 주요 이슈별 현황 2022년은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 2년차이자 중간선거가 시행되는 해이다. 임기 전반기의 성과를 평가받고 후반기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시점에 미국은 코로나 팬데믹,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에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변수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 하에 USTR은 3월 1일 ‘2022년 통상정책의제(Trade Policy Agenda)’를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 임기 1년차의 통상정책을 평가하면.. 2022. 3. 9.
[KITA] 중국의 궈차오(애국소비) 열풍과 우리 소비재 기업의 대응전략 (2022.02) Trade Brief 중국의 궈차오(애국소비) 열풍과 우리 소비재 기업의 대응전략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편명선 2022.02.25 목차 Ⅰ. 궈차오 열풍의 원인 Ⅱ. 중국 소비재 시장의 변화 Ⅲ. 우리 소비재의 중국 수출 현황 Ⅳ. 우리 소비재 기업의 대응전략 중국의 궈차오(애국소비) 열풍과 우리 소비재 기업의 대응전략 최근 중국 소비시장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바로 애국소비 “궈차오 열풍”이다. 중국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애국주의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은 중국의 MZ세대가 소득증가에 힘입어 궈차오 열풍을 주도하고 있다. 궈차오 열풍은 중국 기업들의 성장에 날개를 달아주며 중국 소비시장 확대를 이끌어 가는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글로벌 브랜드 역시 궈차오 열풍에 적극 편승.. 2022. 3. 4.
[KITA] 바이든 정부 1년, 미국 무역구제제도의 운용과 전망 (2022.02) 통상리포트 바이든 정부 1년, 미국 무역구제제도의 운용과 전망 대륙 북미 국가 미국 업종 전체 품목 전체 저자 김경화 수석연구원 미국, 반덤핑, 상계관세, 우회, PMS, AFA 2022.02.24 바이든 정부 1년, 미국 무역구제제도의 운용과 전망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후 1년여 동안 무역법 301조에 의거한 대중국 추가관세 조치와 국가안보를 근거로 한 232조 조치 등 트럼프 행정부에서 강화되어 온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대부분 유지하고 있다. 반면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를 일컫는 무역구제제도에 있어서는 트럼프 행정부 때보다 비교적 합리적인 운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지난 몇 년간 무리한 규정 해석과 재량권 남용으로 비판받았던 조사관행 또한 일부 완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대표적인 것이 수.. 2022. 3. 3.
[KITA]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기업 영향 (2022.02) Trade Brief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기업 영향 대륙 유럽 국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꽃별, 조의윤 #러시아, #우크라이나 2022.02.17 목차 Ⅰ.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개요 Ⅱ. 한-러시아, 한-우크라이나 교역 동향 Ⅲ.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시사점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기업 영향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에 10만 명의 병력을 배치하며 군사적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다. 사태가 악화되면 에너지 원자재, 반도체용 희귀광물 등을 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우리기업이 제조 원가 상승, 수급 차질 등에 직면할 수 있다. 다만 러시아 의존도가 70%를 상회하는 품목은 47개로 심각한 영향은 피할 것으로 보인다. 무역협.. 2022. 2. 24.
[KITA] 중국 Z세대의 소비로 본 성향 분석 (2022.02) 보도자료 중국 Z세대는 지금‘자기만족형’소비 중 담당본부 해외지부 담당팀 청두지부 대륙 전체 국가 전체 업종 전체 품목 전체 협회5대사업 2022-02-16 중국 Z세대는 지금‘자기만족형’소비 중 - 피규어 구매 등 개인적인 취미와 자신의 기쁨을 추구하는 소비 주체로 성장 중 - 우리 기업들이 중국 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기만족형’소비 성향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구자열) 청두지부가 16일 발간한 ‘중국 Z세대의 소비로 본 성향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 인구의 19%를 차지하는 Z세대(1995년~2009년 사이 태어난 세대)의 소비가 가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전세계 Z세대의 가계 지출액 비중 평균(5%)보다.. 2022. 2. 17.
[KITA] 2022년 중국 소비시장을 읽는 5가지 키워드 5C (2022.02) Home>무역통상정보>해외시장동향 2022년 중국 소비시장을 읽는 5가지 키워드‘ 5C ` 대륙 전체 국가 전체 업종 전체 품목 전체 작성자 상해지부 자료제공실 상하이지부 2022-02-14 □ ‘공동부유’는 중국내 불평등 해결을 목표로 한 국정 기조로 중국 정부는 국내 소비 부진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고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 □ 2020년 9월 시진핑 주석의 ‘2030년 탄소 피크,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이후 중국은 녹색 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중 □ 신형소비는 2015년 11월 전통 소비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자 처음 제시되었으며 그 개념이 점차 확장되고 있음 □ 코로나19의 시작으로 급감했던 서비스 소비는 서비스 기업들의 발 빠른 비대면 서비스 전환을 통해 .. 2022. 2. 17.
[KITA]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와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2022.1) 해외시장 트렌드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와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박가현 #펫, #펫케어, #반려동물 2022.01.19 목차 Ⅰ. 연구배경 Ⅱ. 펫케어 시장 현황 Ⅲ. 혁신기업 사례로 보는 펫케어 산업 트렌드 Ⅳ. 우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Ⅴ. 결론 및 시사점 부록 - 수출기업 심층 인터뷰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와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펫케어 산업이 국내외 소비시장의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1인가구의 증가, 고령화 등 세계 인구 구조의 변화로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증가하고,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펫케어 산업의 양적·질적 성장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코로나19.. 2022. 1. 24.
[KITA]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최근 경영환경 전망과 시사점 (2021.12) 해외시장 트렌드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최근 경영환경 전망과 시사점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정귀일 2021.12.14 목차 요 약 I. 연구배경 II. 설문조사 개요 Ⅲ. 사업실적 전망(종합) Ⅳ. 업종별·지역별 사업실적 전망 Ⅴ. 향후 사업의 전개방향 Ⅵ. 중국 사업 환경 리스크 전망 Ⅶ. 요약 및 시사점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최근 경영환경 전망과 시사점 중국 경제가 대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리스크에 직면하면서 2021년 2/4분기 7.9%에 달했던 경제 성장세가 3/4분기에는 4.9%로 하락했다. 내부적으로는 당국의 대출 규제 강화로 부동산 개발 회사들이 자금난을 겪고 있고, 전력난으로 산업 생산이 예상보다 크게 위축됐다.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공급 차질과 원자재 가격 상승 .. 2022. 1. 13.
[KITA] CES 2022를 통해 본 코로나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 (2022.1) Trade Brief CES 2022를 통해 본 코로나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박가현 2022.01.10 목차 1. 개요 2. 혁신상 수상제품으로 살펴본 CES 2022 주요 트렌드 3. 결론 및 시사점 CES 2022를 통해 본 코로나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2가 개최됐다. 금년 CES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약 2,200여개 기업이 참가하여 코로나 이전에 비해 절반 가량 축소된 규모다. 하지만 올해 CES에 우리 기업들은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하며 코로나 19의 어려운 상황을 기술 혁신과 제품개발에 대한 노력으로 타개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CES 2022 혁신상 수상제품을 분석.. 2022.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