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화형 AI 음성쇼핑 서비스 연구: MZ 세대 vs. 베이비붐 세대
Conversational AI Voice Shopping Service: MZ Generation vs. Baby Boom Generation
소비자학연구
약어 : 소비자학연구
2021, vol.32, no.3, pp. 73-93 (21 pages)
DOI : 10.35736/JCS.32.3.4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연구분야 : 자연과학 > 생활과학 > 소비자학
윤도연 /Yoon Do Yeon 1 , 이유리 /Lee, Yuri 2
1서울대학교, 2서울대학교
초록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 시장 규모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국내의 수많은 유통업체에서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한 음성쇼핑 서비스를 선보였다. 음성쇼핑 서비스는 기존의 쇼핑과 차별화되는 장점이 존재하나, 현재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실정이며,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음성쇼핑만의 특성으로 여겨지는 표현성과 공존성이 사용자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음성쇼핑 서비스에 대해 MZ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인식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쇼핑 서비스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표현성 지각은 공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성쇼핑 서비스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공존성 지각은 친밀감, 즐거움, 위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은 부정적 감정에 비해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에이전트에 대한 친밀감과 즐거움만이 음성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넷째, MZ 세대는 친밀감이 이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베이비붐 세대는 친밀감이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EB 패러다임을 음성쇼핑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음성쇼핑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흐름을 효과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비교적 광범위한 연령층을 고려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가상의 쇼핑 에이전트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influence of expressivity and co-presence, which ar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voice shopping service, on user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Furthermore, we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MZ and baby boom generations for voice shopping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s' perceptions of expressivity for voice shopping service agent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presence. Second, users' perception of co-presence for voice shopping service agents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imacy, enjoyment, and threat. Third, positive emotions of users have been found to be a more important factor compared to negative emotions. Fourth, the MZ generation showed that intim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showed that intima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키워드
인공지능, 음성쇼핑, 사용자 감정, MZ 세대, 베이비붐 세대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shopping, User emotion, MZ generation, Baby boom generation
인용
윤도연 and 이유리. (2021). 대화형 AI 음성쇼핑 서비스 연구: MZ 세대 vs. 베이비붐 세대. 소비자학연구, 32(3), 73-93.
자료원: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
'Knowledge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JCS] 시간한정과 수량한정 할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소비자의 조절초점과 처리 수월성의 역할 (2021) (0) | 2022.02.06 |
---|---|
[JCS] 유명인 자녀 광고에서 사회경제적 계층이동성이 제품태도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2021) (0) | 2022.02.06 |
[JCS]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호기심과 소속욕구가 레트로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2021) (0) | 2022.02.06 |
[JDCS] AI 스피커에 적용된 아바타와 사용자의 성일치 여부와 아바타 구현의 사실성 수준이 사용의도 및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2021) (0) | 2022.01.24 |
[JDCS]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 분석 연구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2021) (0)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