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Research

[JDCS]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 연구 : 디지털 문화 소비의 주요 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2021)

by 이제니 2022. 1. 19.
728x90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2 , No. 12

[ Articl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 22, No. 12, pp. 2139-2149
Abbreviation: J. DCS
ISSN: 1598-2009 (Print) 2287-7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13 Oct 2021 Revised 10 Nov 2021 Accepted 10 Nov 2021
DOI: https://doi.org/10.9728/dcs.2021.22.12.2139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 연구 :
디지털 문화 소비의 주요 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황서빈1 ; 김혜근2 ; 윤경윤1 ; 황종원2 ; 조영준2, *
1전남대학교 IoT인공지능융합학과, 2전남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2전남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A Research on Group Photo Synthesizer in Untact Communication Platform : focusing on generation MZ
Seo-Bin Hwang1 ; Hye-Geun Kim2 ; Kyung-Yoon Yoon1 ; Jong-Won Hwang2 ; Yeong-Jun Cho2, *

1Under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IoT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Under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Software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ftware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Yeong-Jun Cho Tel: +82-62-530-3432 E-mail: yj.cho@chonnam.ac.kr

Copyright ⓒ 2021 The Digital Contents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전례 없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질병 전파를 늦추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감염 관리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대면 소통 플랫폼의 모든 연령층에 대한 사용량이 급증하였다. 특히 디지털 트렌드를 주도하는 MZ세대는 온라인에서의 다양한 소통과 만남이 일상화되었으나 일반적인 비대면 소통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지닌 MZ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 생성 기술을 제안한다. 해당 기술에서는 강화된 객체 검출 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탐지하고 최적의 인물 배치 및 합성영상 생성을 모두 자동으로 수행한다. 서비스 사용에 대한 높은 편의성 및 접근성 위해 모든 기술은 웹(Web)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제안 기법 및 서비스는 다양한 입력 영상 및 환경에 대해 올바르게 단체 영상을 합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설문을 통해 연구 필요성 입증 및 연구 결과물의 활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Abstract

To slow the spread of the disease under COVID-19 pandemic, infection control called "social distancing" has expanded. Since then,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platforms have soared inevitably. Likewise, various online meeting platforms are commonly provided, but the existing platforms can not satisfy generation MZ and their diverse cultures. In this work, we propose a new service called "Group Photo Synthesizer" that automatically synthesizes a group photo from individual person images. To this end, an improved person detector automatically detects positions of people in images. Next, the individual images will be properly located and synthesized as a group photo. For user convenience, all proposed methods are designed to be available on the web platform. In addition, we extensively validated the proposed methods under various input images and conditions. Furthermore, through various surveys of user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proved and the us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verified.

Keyword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latform, Generation MZ, AI, Group Photo Synthesizing, Computer Vision

키워드:
비대면 소통 플랫폼, MZ세대, 인공지능, 단체 인물사진 합성 기술, 컴퓨터 비전

Fig. 6. (Top) Process of proposal service and user interface; (Bottom) Image processing environment
 

 

자료원: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http://journal.dcs.or.kr/_common/do.php?a=full&b=11&bidx=2813&aidx=3179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