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rade Brief 해외바이어의 한국 국가브랜드 및 한국제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문선, 박가현
#국가브랜드, #해외바이어, #한국제품, #설문조사
2022.03.23
목차
Ⅰ. 조사 배경
Ⅱ. 국가브랜드의 개념과 영향력
Ⅲ. 한국의 국가브랜드 현황
Ⅳ. 해외바이어의 한국 국가브랜드 및 한국제품 인식 설문조사
Ⅴ. 결론 및 시사점
해외바이어의 한국 국가브랜드 및 한국제품에 대한 인식 조사
세계 시장에서 국가브랜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강력한 국가브랜드가 기업과 제품의 브랜드 가치 및 제품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글로벌 국가브랜드 평가기관인 브랜드파이낸스의 조사 결과 2021년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가치는 100개국 중 10위로 나타났다. 해외 바이어 213명을 대상으로 ‘한국 국가브랜드 및 한국제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6.7%가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과거 대비 강화됐다고 응답했으며, 한국 국가 브랜드가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 및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또한, 바이어들은 한국제품의 이미지 및 강점으로 고품질을 지목했으며, 한국제품의 경쟁국가로는 일본을 1순위로 선정했다. 한국제품의 경쟁력이 과거 대비 강화됐다고 응답한 비중도 65.7%에 달했다. 앞으로 정부는 국가브랜드 관리를 위한 일원화된 전담 조직을 마련하고, 수출 기업들은 해외 바이어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출확대전략을 구사 할 필요가 있다.

'Knowledge > Re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TA] EU의회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수정안 평가와 시사점 (2022.04) (0) | 2022.04.20 |
---|---|
[KITA] 글로벌 무역통상 환경 변화와 우리의 대응 과제 : NEXT 20 (2022.04) (0) | 2022.04.20 |
[KITA]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의 경쟁력 현황(2020년 기준) (2022.03) (0) | 2022.03.28 |
[KITA] 한·미 FTA 10주년 평가와 과제 (2022.03) (0) | 2022.03.16 |
[KITA]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산업 정책방향과 시사점 (2022.03) (0) | 2022.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