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de Brief 제조업의 미래 I, 중간재로서의 서비스업 위상 제고 및 시사점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강내영
2022.10.20
목차
I. 연구배경
II. 중간재로서의 서비스업 위상 변화
III. 결론 및 시사점
제조업의 미래 I, 중간재로서의 서비스업 위상 제고 및 시사점
수출상품 생산에 활용된 서비스, 주요 5개국 중 한국(27.9%)이 가장 낮아
- 독일, 일본, 중국, 미국, 한국 등 주요 제조 5개국 비교 ... 1위는 독일(36.5%) -
◆ 글로벌 가치사슬(GVC) 상 서비스 수출의 부가가치 창출력이 제조에 비해 높음
* 2021년 GVC 참여도 : (제조) 53.4% < (서비스) 65.3%
◆ 특히, 수출용 상품 생산에 있어 중간재로서 서비스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
* 세계 수출 상품 생산에 투입된 서비스 비중 : 2011년 29.8% → 2021년 32.3%
◆ “한국과 국내외 서비스 투입 비중 유사한 독일 벤치마킹 필요”
◆ “국내 서비스-제조업 간 융합 촉진해 중간재로서 서비스 활용도 높여야”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서비스 수출의 부가가치가 제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산과 수출에 있어서 서비스업의 역할과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서비스업의 GVC 참여도는 제조업에 비해 지난 20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해오며, 금융위기 이후(2010년 기준) 59.3%에서 2021년 65.3%를 기록하며 6.0%p 상승했다. 반면 제조업의 GVC 참여도는 동 기간 1.7%p 상승에 그치며 2021년 53.4%를 기록했다. 특히, 수출용 상품 생산에 있어 중간재로서 서비스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의 제조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와 제조업 간 융합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서비스 중간재의 수출경쟁력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제조 총수출을 위한 서비스 투입 비중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주요국 대비 상대적으로 국내 서비스와 제조업 간의 융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의 제조업 혁신은 향후 국내 제조업체들의 생산과정에도 혁신적인 서비스를 투입해야만 하는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우리 기업들은 제조과정에 투입되는 서비스 중간재를 적극적으로 개발/활용하는 한편, 독일형 산업구조를 벤치마킹하여 국내서비스 투입 비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제조업의 미래 I, 중간재로서의 서비스업 위상 제고 및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Knowledge > Re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TA] 2022년 수출입 평가 및 2023년 전망 (2022.12) (0) | 2022.12.14 |
---|---|
[KITA] 최근 반도체장비 교역동향 및 시사점 (2022.11) (0) | 2022.12.14 |
[KITA] 최근 반도체장비 교역동향 및 시사점 (2022.11) (0) | 2022.11.17 |
[KITA] 탄소중립시대,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 현황과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2022.11) (0) | 2022.11.17 |
[KITA]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거점 결정요인 분석 및 한국의 유치전략 (2022.09) (0) | 2022.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