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Reports

[KITA]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2.05)

by 이제니 2022. 5. 25.
728x90

 

Trade Brief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강내영, 양지원
#중국, #제로코로나, #코로나19, #봉쇄조치, #경제, #GDP
2022.05.17

 

목차
1. 연구배경
2. 봉쇄조치에 따른 중국 경제에의 영향
3. 중국 봉쇄 시나리오별 한국 GDP 영향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코로나19와의 공존으로 전환하는 주요국과 달리, 중국은 ‘제로코로나’를 지속 표방하며 코로나 확진자 발생 지역에 대해 봉쇄조치를 단행 중이다. 상하이의 도시 봉쇄가 한 달을 넘고 수도 베이징도 감염자 확산 속에 봉쇄 우려가 나오면서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더욱 낮아지고 있다. 중국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봉쇄조치 시,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 → 글로벌 對중국 수출 감소 → 한국 GDP 감소의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본 보고서는 부가가치 창출을 수요측 요인으로 분해해 봄으로써, 중국의 수요 감소가 무역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 GDP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해 보았다. 중국의 전면봉쇄된 지역 GDP가 중국 전체의 30%를 차지한다고 가정 시, 8주 전면봉쇄가 현실화 될 경우 중국의 금년 경제성장률이 3.4%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한국의 GDP 성장률 역시 0.26%p 하락이 전망된다. 이에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가 필요하다.

 

(참고자료)TB8호.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pdf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https://kita.net/cmmrcInfo/internationalTradeStudies/researchReport/focusBriefDetail.do?pageIndex=1&no=2294&logGb=A9400_20220523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