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Reports

[KITA]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과 시사점 (2022.05)

by 이제니 2022. 5. 22.
728x90

 

Trade Brief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과 시사점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임지훈
친환경, 수출기업, 포장재, 친환경 인증, 소비트렌드, 대중소협력, 애로/건의
2022.05.17

 

목차
Ⅰ. 기후위기와 강해지는 친환경 트렌드
Ⅱ.수출기업의 친환경 트렌드 대응현황 설문조사 결과
Ⅲ. 결론 및 시사점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과 시사점

친환경 트렌드가 국내외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 소비재 수출기업 4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절반이 넘는 51.3%의 기업이 ‘친환경 트렌드가 자사의 수출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높아졌다’는 기업도 52.1%에 달했다. 한편 수출기업의 친환경 전환에 따른 가장 큰 애로는 ‘연구개발(R&D) 및 원가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31.2%), ‘인증 취득 어려움’(19.3%)으로 나타났고, 필요한 지원으로는 ‘금융지원’(25.7%), ‘인증 취득 지원’(25.2%), ‘마케팅 지원’(22.9%) 순으로 조사됐다. ‘친환경 트렌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기업 인식전환과 더불어 정부와 지원기관에서도 금융·기술·마케팅 지원뿐 아니라 친환경 산업 통계 구축, 주요국과의 상호인정 활성화, 해외인증 취득 지원 등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TB7호_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과 시사점.pdf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https://www.kita.net/cmmrcInfo/internationalTradeStudies/researchReport/focusBriefDetail.do?pageIndex=1&no=2295&logGb=A9400_20220519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과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