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A]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 (2022.07)

Trade Brief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
대륙 전세계 국가 전체 업종 전업종 품목 전품목 저자 김문선
#실버시장, #베이비붐 세대
2022.07.04
목차
Ⅰ. 연구배경
Ⅱ. 주요국 실버시장 현황
Ⅲ. 실버시장 진출전략
Ⅳ. 결론 및 시사점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전세계 65세 이상 인구가 2020년 7억명에서 2050년 15억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노인을 대상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판매하는 실버시장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단일시장으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의 경우 실버시장이 2025년 약 3.5조 달러에 달하고, 노인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일본은 8천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국은 제2차 베이비붐 세대(1962~76년생)에 태어난 인구가 고령층에 편입되기 시작하면서 빠르게 고령화가 이루어질 전망이고,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한국은 2025년 고령인구 비율 20.3%로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실버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노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인식이 중요하다. 특히 시니어 제품이나 서비스 마케팅 시 ‘노인’을 전면에 내세우기보다는 ‘젊은 어른’으로 시니어에 대한 인식을 바꿔 시니어 세대에 어필해야 한다. 또한, ▲에이지리스 디자인 활용, ▲시니어 감성 자극 제품 개발, ▲시니어 편의성 제고, ▲시니어 돌봄 서비스 개발 등의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해 정부 차원의 고령 기술에 대한 R&D 지원 확대 및 시장판로 개척 등의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자료)TB12호.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기업에의 시사점.pdf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